h2는 로컬 파일 db 이다.

 

USER/.h2.server.properties 파일 : h2 접속시 설정 정보들 저장중인 파일

아래 test.mv.db, test.trace.db 파일은 test 스키마 자체에 속한 객체(테이블, 데이터..) 저장파일.

 

 

h2 설치했다가 언인스톨 해도 위 파일들은 그대로 남아있어서

같이 지워줘야 말끔하게 삭제된다.

 

그동안 h2 설치해놓고 안쓰고 지내다가 다시 쓸일이 있어 로컬에서 접속 테스트 하는데 계속 Wrong username or password 떠서 삽질함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

Database "C:/Users/USER/test" not found, and IFEXISTS=true, so we cant auto-create it [90146-199]

문제내용

Github Repository를 private로 설정한 프로젝트를 TravisCI로 연동하여 테스트/빌드 수행하였음

Travis-ci.org 로그아웃 이후 다시 로그인 하였을 때 해당 github private repository가 보이지 않음

안보임ㅋ settings에서도 안보임ㅋ

 

github 해당 프로젝트 setting으로 이동

 

 

 

Select repositories를 클릭 검색하다 말면 Save버튼이 활성화된다

 

travis-ci.org로 이동되면서 private repo들 불러온다

 

헐 나타남

 

 

버그인듯한데

free account로 빌드 100번까진 허용하는 정책이라 문서에 나와있으니 이렇게라도 써본다 -.-

목표 : aws 루트사용자의 MFA를 추가하여 웹콘솔 로그인 보안성을 강화한다

 

1. AWS - IAM

2) 목적이 루트사용자 MFA활성화 이므로 Continue to Security Credentials 클릭

 

3) MFA 활성화

 

4) 모바일 앱으로 MFA디바이스를 정할것이므로 '가상 MFA 디바이스' 선택하고 '계속' (OTP같은걸 끼얹나?)

 

5)

본 포스팅에서는 Google Authenticator 선택

 

6) 

Google OTP 앱 다운받고 시작하기 한다음

mfa 등록 화면에 뜨는 qr이나 비밀 키 입력하거나 선택해서 넣어준다

 

- 여기서 연속적으로 뜨는 두개의 OTP 숫자를 aws mfa등록 콘솔에 넣어줘야 한다

발급되었다

 

로그아웃 후 다시 로그인 시 비번 맞춘 다음 MFA인증해라고 뜸.

다음 루트사용자 로그인시엔 비번넣고 Google OTP에서 뜨는 MFA코드 넣어서 로그인 한다.

 

끝.

+ Recent posts